"475m 세계 최장 라면 가게, 24만명 몰렸다"…'K라면 성지' 구미
컨텐츠 정보
- 10 조회
- 1 댓글
- 목록
본문
4년차 구미라면축제 가보니...세계 최대 규모 '475m 라면 로드' 눈길 QR코드 도입해 이용객 편리성 개선...12만개 한정 판매 '신라면 케데헌 에디션' 인기
유통을 비롯해 식품, 패션·뷰티와 중소·중견기업 등 다양한 분야를 취재하는 머니투데이(M) 산업 기자들의 '현실 기록(Real+Log)'. 각 현장에서 직접 보고, 묻고, 듣고, 느낀 것을 가감 없이 생생하게 풀어내 본다.
"여기 오려고 연차까지 썼어요."
지난 7일 오후 3시. 경북 구미역 인근 구도심 광장에서 열린 구미라면축제의 '라면 빨리먹기' 대회에 참가한 한 30대 여성 참가자는 자기소개를 부탁하는 질문에 "대전 사람인데 구미에 오려고 연차까지 썼다"고 말했다. 지난 7일부터 9일까지 열리는 구미라면축제는 올해로 벌써 4회째를 맞았다. 직선 형태의 구미역 앞 광장과 도로를 475m 길이의 '세상에서 가장 긴 라면 레스토랑'으로 꾸며 방문객들의 이목을 끌었다.
현장에서는 구미 지역 상인들이 직접 만든 이색 메뉴를 맛보려는 방문객들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각 부스 앞에는 주문한 라면을 기다리는 사람들로 긴 줄이 늘어서는 진풍경이 벌어졌다. 첫날과 둘째 날에만 벌써 방문객 수가 24만명에 달할 정도다. 지난해 행사는 총 17만명이 방문했는데 이틀 만에 지난해 기록을 뛰어넘은 것이다. 지난해 방문객 중 48%가 외지인이었다.
핫도그 빵에 잘 볶은 라면과 야채를 토핑으로 올려 만든 빵인 '금오산볶음라면빵'을 판매하는 부스 직원 김민서(이하 가명·25세)씨는 "지난해에 3000개 이상 팔렸고 올해는 더 많이 팔릴 것 같다"며 "이미 반응이 너무 뜨겁다"고 웃음을 지었다. 친구와 함께 축제 현장을 찾은 배민지(21세)씨도 "음식도 맛있고 올해는 스마트폰 QR코드로 간편하게 주문하는 시스템이 도입돼 편하다"고 말했다.
구미라면축제에서는 농심 구미공장에서 갓 생산된 라면이 공급돼 참가자들이 신선하고 탱글한 라면을 맛볼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농심이 구미라면축제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이유는 구미 지역 상생과 경제 활성화에 힘을 싣기 위해서다. 구미시는 특히 올해 농심과 넷플릭스 '케이팝 데몬 헌터스'와의 협업에 힘입어 젊은 층에도 큰 호응을 얻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 현장에서는 '신라면 케데헌 에디션' 12만개가 한정 판매돼 눈길을 끌었다.
구미라면축제의 모태가 된 농심 구미공장은 국내 신라면 생산량의 약 75%를 담당한다. 김상훈 농심 구미공장 공장장은 "신라면 고속라인에서는 1분에 최대 600개의 제품이 생산된다"며 "하루 생산량은 약 500만명에 달하는 경상북도민 한 사람에게 하나씩 라면을 줄 수 있는 정도"라고 말했다. 농심 구미공장은 국내 최초로 라면 공장에 인공지능(AI) 기반 사물 인식 프로그램을 도입해 포장 결함 등을 자동으로 인식한다. 이는 신라면은 물론 짜파게티, 너구리 등 주력 제품에 대한 일관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이라는 게 농심 측 설명이다.
신라면 출시 40주년을 맞는 농심은 본격적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도약을 준비한다. 최근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신제품인 '신라면 김치볶음면'을 필두로 추후에도 신라면이라는 대표 브랜드를 활용한 다양한 신제품을 출시할 계획이다. 'Spicy Happiness In Noodles(매콤한 행복)'를 글로벌 슬로건으로, 전 세계 소비자에게 신라면이 가진 '매운 즐거움'을 경험하게 하겠다는 구상이다.
구체적으로 소고기와 닭, 마라 등 다양한 현지 식자재를 활용한 지역별 맞춤 신제품을 개발해 글로벌 입맛을 겨냥하겠단 계획이다. 심규철 농심 글로벌마케팅부문장은 "그동안 신라면에 한국적인 맛을 오롯이 담아내기 위해 노력했다면 앞으로는 신라면이 각국의 문화와 생활 속에 잘 녹아들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을 본격화하겠다"고 강조했다.
-
등록일 05:14
-
등록일 05:11
-
등록일 05:07
-
등록일 11.09






